티스토리 뷰
덕수리 전통민속축제는 2018년 10월 13일부터 10월 14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일주서로 1836, 덕수리 산 27의 제주 서귀포시 덕수리민속공연장에서 펼쳐진다. 타지역과 교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립된 생활을 해야 했던 뎻 제주에서는 대부분의 생활필수품을 교역을 통하기 보다는 자급자족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런 제주지역 소비 생필품의 대부분을 서귀포시 안덕면 덕수리에서 생산하였다. 이행사는 그 시절 생산되던 물품들의 생산과정을 재현하여 관광객에게 제주의 전통 생활양식을 알리는 행사로 진행된다.
매년 10월경 제주조각공원에서 불미공예 재연행사를 마련하고 주민과 관광객이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을 펼친다. 행사기간에 조상 대대로 내려온 '방앗돌 굴리는 노래'와 '불미공예', '집줄놓는 소리'들을 선사한다. 행사내용에는 솥 바슴 굽기 체험(무쇠솥 만들기), 토신제, 길트기공연, 개회식, 민요공연, 전통무용, 우슈, 불미공예, 집줄놓는 노래, 민속경기대회, 제주어말하기대회, 우리가락한마당, 노래자랑 및 경품 추첨, 폐회식 등,
부대행사에는 우리마을소개, 집줄놓기 체험, 새끼줄 꼬기 체험, 전통떡 만들기 체험, 어린이 민속백일장, 한지공예 만들기, 민속놀이 체험, 솥 바슴 굽기체험, 제주노동요 얼쑤 우리가락, 가훈 써주기 등이 있다. 기타 체험으로 서각전시, 와풀, 네일아트 체험, 빙떡 만들기 체험, 연, 만화컵받침, 동물열쇠 고리만들기, 전통차 시음, 에코가방만들기, 소방안전 체험, 쓰레기 줄이기 홍보, 드론체험 등이 펼쳐진다.
불미공예는 주철(무쇠)로 솥과 쟁기날을 제작하는 공예기술이다. 제주도 주물공예의 형태는 손의 힘으로 바람을 일으켜 쇠를 녹이거나 달구는 손풀무와 땅바닥에 골을 파서 중간에 굴대를 박고 그 위에 널빤지를 걸쳐놓아 한쪽에 세 사람씩 서서 널빤지를 널뛰기하듯 디뎌가며 바람을 일으키는 골풀무가 있다. 손풀무는 다시 똑딱불미와 토불미로 구분한다. 똑딱불미에서는 달군 쇠를 두들겨 주로 칼이나 호미 등을 만든다. 토불미에서는 둑(용광로)에서 녹인 쇳물을 미리 만들어진 주물틀에 부어넣어 주로 솥, 볏, 쟁기날 등을 만든다.
골풀무를 청탁불미 또는 디딤불미, 발판불미라고 하는데 그 규모와 만들어지는 제품은 토불미와 같으나 바람을 일으키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제주도의 주물공예는 가장 단순한 구조인 똑닥불미에서 토불미, 그리고 발의 힘으로 바람을 일으켜 무쇠를 녹이는 청탁불미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짙다. 제주도의 주물공예는 점점 쇠퇴해 가고 있다. 현재 불미공예 기능보유자인 송영화씨는 매년 10월중에 덕수리에서 불미공예 재현행사를 여는 등 불미공예의 전통을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방앗돌 굴리는 노래'는 제주도 민요 중 잡역요에 속하는 민요로 음악적인 특이성이 중시되어 1986년 4월 10일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이 민요는 연자매에 사용할 커다란 연자맷돌을 산이나 냇가 등에서 캐어 내고는 마을까지 굴려오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제주도에서는 연자매의 굴리어 가는 맷돌인 웃돌과 바닥돌인 알돌을 큰 바윗돌이 있는 들이나 산에서 다듬은 다음에 이를 마을 사람들이 함께 마을 안으로 굴려 왔던 것이다. 이 노동은 청장년들이 모여 함께 하는 집단 노동으로서 엄청난 힘을 요한다.
'집줄놓는 노래'는 제주도 지역에서 초가지붕을 얽어맬 줄을 꼬면서 부르는 노래로 제주도에서는 초가지붕이 태풍과 같은 거센 바라에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굵은 집줄로 지붕을 바둑판처럼 단단히 얽어맸다. 매년 가을 집집마다 집불을 꼬는 일은 필수적인 작업이었고 이색적인 풍경이었다. 초가집을 얽어매는 줄을 '집줄'이라고 한다. 집줄을 한 갈래씩 꼬는 일을 '집줄 놓는다'라고 하고, 두 갈래로 한데 엮어 꼬는 것을 '집줄 어울린다.'라고 한다. 넓은 집 마당이나 긴올레에서 많은 일꾼들이 모여 집단적으로 줄을 놓거나 어울리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대한민국축제 정보와 여행지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금전적 대가나 물품지원을 받지 않는 순수 정보 블로그입니다"